본문 바로가기

의류학 - 현대패션과 서양복식문화사18

근대 - (1) 엠파이어 스타일 시대 복식(1789~1820) 1. 시대적 배경 프랑스 혁명 이후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사회적 특징은,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정치혁명으로 인해 정치적 변화가 크게 일어났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시기는 급격한 정치적 변화로 혁명시대(1789~1795), 총재정부시대(1795~1799), 통령정부시대와 제 1 제정시대(1799~1815)로 시대 구분을 할 수 있다. 혁명시대는 절대왕정이 붕괴되고 지방 행정가들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지는 시기였다. 이 시기의 제일 상위의 신분은 성직자로 전체 인구의 1퍼센트도 안 되는 극소수였으나 넓은 토지, 높은 수입으로 파리나 베르사유에서 부유한 생활을 했다. 제2계급인 귀족도 전체 토지의 1/4 정도를 소유하고, 특권과 부를 누렸다. 이에 반해 제일 아래 계급인 평민 계급은 인구의 95퍼센트를 차지하고.. 2023. 2. 19.
근세 - (3) 로코코 시대 복식 1. 시대적 배경 18세기에는 이전 바로크 시대의 남성적인 스타일이 섬세한 색채와 문양이 특징인 여성적인 로코코(Rococo) 스타일로 점차 변화하였다. 18세기 초에는 프랑스가 유럽 전역에서 복식 유행을 주도하였으나, 시간이 흘러 후반부에는 프랑스 왕권이 몰락하면서 실용적인 영국풍이 대두되었다. 로코코 스타일은 경제 발전으로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 계급이 부상하는 가운데 문화적 사랑방이라 할 수 있는 살롱이 발달하면서 서 유행하게 되었다. 살롱은 여성 중심으로 발전했는데, 이 살롱으로부터 섬세하고 화려한 장식을 특징으로 하는 로코코 양식이 탄생했다. 이 시기에 이루어진 루프와 리본 직기의 자동화, 레이스 직조 방법의 개량, 편성기 개발 등의 기술 발전은 복식 발달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중앙아시아와 극동.. 2023. 2. 18.
근세 - (2) 바로크 시대 복식 1. 시대적 배경 신대륙 발견 이후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했던 스페인이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북유럽과 남유럽 사이의 신교와 가톨릭 대립으로 야기된 30년 전쟁(Thirty Years' War, 1618~1648)의 결과로 다양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고, 사회·문화적으로는 네덜란드가 중심 국가로 부상하였다. 당시 네덜란드는 스페인 지배하에 있다가 17세기 초에 독립하였으며, 동인도회사를 설립하고 유럽의 해상 무역권을 장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덜란드의 국력이 신장하 영국과 경쟁을 벌일 정도로 경제 강국이 되었으며, 세계의 패션 유행을 선도하게 되었다. 17세기 전반 네덜란드의 패션은 르네상스 시기의 복식과 상반되는 서민 복식 중심으로 실용적인 것이 특징이었다. .. 2023. 2. 17.
근세 - (1) 르네상스 시대 복식 1. 복식 1) 복식의 개요 르네상스 시대의 복식은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는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극적인 화를 거듭하게 된다. 국가 간의 활발하게 교류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한 나라의 복식에 다른 나라의 스타일이 혼재하거나 복합적인 요소를 드러냈다. 유럽 내 복식의 전파는 왕족 간의 결혼을 통해 가속화되기도 했다. 영국 헨리 8세(Henry VIII, 1491~1547)의 첫째 부인이 스페인의 캐서린(Catherine, 1485~1536) 공주인데, 이 혼인을 계기로 스페인 복식의 요소를 영국 복식에 도입하게 되었다. 이로써 중세의 복식은 16세기 초에 넓이와 부피감을 강조하는 르네상스 스타일로 바뀌게 된다. 여성복의 허리선은 다시 낮아지고, 네모진 데콜타쥬(decolletage)와 길게 과장하지 않.. 2023. 2. 14.
반응형